정보/상식

대위변제란? - 구상권 소멸시효 어떻게 될까?

블블블블 2023. 9. 22. 06:38

목차

     

    이번 포스팅 글은 대위변제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채권자와 채무자의 관계는 참으로 많은 관계의 형성을 만들어 내는데요. 이번에도 역시 그러한 관계 형성의 일환 중 하나입니다. 그럼 포스팅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위변제란?

     

    대위변제는 어떤 채권자가 채무자의 채무를 대신 변제하고 , 그 변제한 금약만큼 채무자에게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대위변제는 채권자의 이익을 보호하고, 채무자의 부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대위 변제를 하려면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합니다.

     

     

    조건

     

    1. 채권자가 패무자에게 변제를 청구할 수 있는 경우
    2. 채권자가 대위변제를 동의하거나, 대위변제의 의사를 표시한 경우
    3. 대위변제자가 대위변제의 의사를 표시하고, 채권자에게 변제한 경우

     

    대위 변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이루어집니다.

     

    1. 보증인이 보증채무를 대신 변제하는 경우
    2. 담보권자가 담보채무를 대신 변제하는 경우
    3. 연대채무자가 연대채무를 대신 변제하는 경우
    4. 공동채무자가 공동채무를 대신 변제하는 경우

     

    반응형

     

    대위변제 이후

     

    대위 변제자는 채권자의 권리와 의무를 승계하게 됩니다. 즉, 채권자가 가지고 있던 채권과 담보권, 우선변제권 등을 대위변제자가 얻게 되고, 채권자가 부담하고 있던 비용과 손해배상 등의 의무도 대위변제자가 부담하게 됩니다. 대위 변제하는 자신이 변제한 금액만큼 채무자에게 구상할 수 있으며, 채권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에 대해서도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대위 변제는 법률상의 제도로서, 민법 제450조 에서 구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특정한 계약이나 법률에서도 대위변제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보증계약에서는 보증인 보증채무를 대신 변제할 수 있는 권리와 의무를 정하고 있으며, 담보권법에서는 담보권자가 담보채무를 대신 변제할 수 있는 권리와 의무를 정하고 있습니다.

     

     

     

    구상권

     

    대위변제 구상권은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채무를 변제한 후, 그 채무의 원인이 되는 법률관계에 따라 채무자가 다른 자에게 구상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쉽게 예를 들어, A가 B에게 돈을 빌려주었고, B가 C에게 돈을 빌려주었다고 해보겠습니다. 이때 C가 B에게 돈을 갚지 않아서 B가 A에게 돈을 갚지 못하면, A는 B의 채권자이고 B는 A의 채무자입니다.

     

    그런데 A가 B를 대신하여 C에게 돈을 갚으면, A는 B의 채권을 승계하고, C는 A의 채무자가 됩니다. 이때 A는 C에 대하여 대위변제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대위변제 구상권은 채권자의 이익을 보호하고, 채무자의 부담을 공정하게 부담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소멸시효

     

    채권자가 채무자에게 채권을 변제받은 경우, 채무자가 그 변제를 받은 채권의 원인이 된 권리를 스스로 행사할 수 있는 기간을 말합니다. 대위변제 소멸시효의 기간은 5년이며, 이 기간이 경과하면 채무자는 그 권리를 행사할 수 없게 됩니다. 대위변제 소멸시효의 개시시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채권자가 채무자에게 변제받은 날
    2. 채권자가 채무자에게 변제를 청구한 날
    3. 채권자가 채무자에게 변제를 강제하기 위해 법적 조치를 취한 날

    대위 변제 소멸시효는 채무자의 권리보호를 위한 제도입니다. 채권자가 변제받은 후에도 계속해서 원인이 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면, 채무자는 두 번이나 세 번이나 같은 채무를 변제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대위변제 소멸시효는 일정한 기간 내에 권리를 행사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권리를 상실하게 함으로써, 채무자의 부당한 부담을 방지하고 법률관계의 안정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반응형